728x90
반응형
암세포 죽이는 신약, 이제는 AI가 디자인한다 – '갤럭스'의 도전
신약 개발에는 평균 10년 이상이 소요되며, 성공 확률도 낮습니다. 그런데 이제 이 어려운 과정을 AI가 혁신하고 있습니다.
서울대 석차옥 교수 연구진이 창업한 바이오 스타트업 '갤럭스(Galux)'는 AI를 활용한 단백질 신약 설계로 국내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
🔬 신약 개발에 AI가 필요한 이유는?
- 단백질 설계는 질병을 치료하는 핵심
- 항체는 질병 유발 바이러스나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이를 무력화시킴
- 항체의 "손가락" 역할을 하는 부분(CDR)은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어, AI가 이를 예측하고 설계
🤖 갤럭스가 만든 AI ‘Galux Design’
- 항체뿐 아니라 어떤 단백질도 설계 가능
- 코로나19, 암, 비만 등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한 신약 설계 수행
- 국제 대회(CASP, CAPRI 등)에서 우승한 기술력 보유
🧠 차별화된 AI 학습 방식
- 단순 문제-정답 학습이 아닌, 정답의 이유까지 추론하도록 설계
- 소량의 데이터로도 원리 중심 학습을 통해 높은 확장성 확보
- 20가지 아미노산 간의 상호작용 원리를 AI가 스스로 학습
💡 암 치료 예시 - PD-1과 PD-L1
- 면역세포(PD-1)와 암세포(PD-L1)의 결합을 방해해 암세포의 ‘위장 전략’을 차단
- 갤럭스 AI는 이 항체를 설계해 암세포 사멸을 유도
🌐 궁극적인 목표
- 모든 질병에 대응 가능한 신약 개발
- 신약 개발 효율성 극대화
- AI+바이오 산업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
반응형
728x90
728x90
반응형
'📢 최신 뉴스 (Hot New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뉴욕 허드슨강 헬기 추락…스페인 가족 포함 탑승자 전원 사망 (34) | 2025.04.12 |
---|---|
전자담배 피운 10대 소녀, 희귀 폐질환 ‘팝콘 폐’ 진단 (36) | 2025.04.12 |
99년 만에 돌아온 장난감 책…세월을 건너온 감동의 반납 이야기 (48) | 2025.04.11 |
구글 지도만 믿고 달리다…끊어진 다리에서 추락한 차량의 '기적의 착지' (54) | 2025.04.11 |
30초 동안 침 삼키기, 건강의 적신호를 알 수 있다? (78) | 2025.04.10 |